해부학적 특징
- 넙다리네 갈래근(quadriceps femoris) 안에 포함되며, 사람 몸에서 가장 큰 종자 뼈 (sesamoid bone)이다.
*종자 뼈 : 관절을 지나가는 힘줄에서 형성되어 힘줄이나 인대의 속에 있는 뼈→움직임이 많은 곳
- 넙다리뼈의 무릎면과 무릎 넙다리 관절을 이룬다.
- 무릎뼈의 위 끝을 무릎뼈 바닥, 아래 끝은 뾰족한 모양을 본떠 무릎뼈 꼭지라고 부른다.
- 뒷면은 거의 연골 상태이며, 중앙 부분의 융기를 기준 삼아 안쪽 면 가쪽 면으로 구분 짓는다. 일반적으로 가쪽 면이 넓다.
- 무릎뼈는 넙다리네 갈래근, 무릎인대와 함께 무릎관절 폄(extension)의 구성 요소이다.
- 무릎관절을 편 위치에서는 무릎뼈 꼭지의 높이는 무릎관절 틈새에 일치하는 것이 정상 패턴이며 무릎뼈의 위치를 파악할 때 유용하다.
Advice
- 근육은 시작 부위와 부착 부위에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 몸을 움직이게 만든다. 무릎뼈는 넙다리네 갈래근이 무릎폄을 할 때 지레의 팔을 연장시켜 펴는 힘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준다.
- 무릎뼈가 내려가는 방향에 활주 장애가 있다면 무릎관절 굽힘에 제한이 나타나게 된다.
- 점퍼 무릎(jumper's knee)에서는 무릎뼈 꼭지 주변의 압통이 특징이다.
- 가쪽 넓은 근을 비롯한 넙다리 가쪽 부분의 구축(contracture)은 분열 무릎뼈에서 통증을 발생시킨다.
- 무릎 넙다리 관절증은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발생한다.
- 무릎 연골 연화증 즉 앞 무릎 통증(anterior knee pain)은 무릎뼈의 바깥쪽 불안정성에 의한 통증이다.
- 무릎뼈의 가로 골절은 무릎폄의 기능 상실을 의미하고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 무릎뼈의 긴 지름과 무릎뼈 꼭지에서 정강뼈거친면까지의 길이는 대략 1:1이다.
이미지 출처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642
InjuryMap - Free Human Anatomy Images and Pictures
https://www.flickr.com/photos/126377022@N07/14761153871
www.MedicalGraphics.de
'-------------------------------------- > 근골격계 해부학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강뼈거친면[tibial tuberosity]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5.13 |
---|---|
넙다리뼈와 정강이뼈의 안쪽,가쪽 관절융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28 |
넙다리뼈머리 [head of femur]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19 |
넙다리뼈 큰돌기 [great trochanter]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10 |
궁둥뼈결절 [ischial tubercl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