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

종아리뼈(fibula)머리에 대해 알아보자~!! 해부학적 특징 종아리뼈는 정강이뼈에 비해 가늘고 넙다리뼈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몸 쪽 끝은 각뿔 모양으로 종아리뼈 머리가 된다. 종아리뼈 안쪽면은 정강뼈와 [몸 쪽 정강 종아리 관절]을 이룬다. 종아리뼈 머리에는 가쪽에 넙다리 두 갈래 근, 앞면에는 긴 종아리근 긴 발가락 폄근, 뒷면에는 가자미근의 일부가 부착한다. 종아리뼈 머리는 가쪽곁인대가 닿으며, 앞뒤 종아리뼈 머리 인대가 몸 쪽 정강 종아리 관절을 안정시킨다. Advice O형 다리가 심한 환자의 X-ray에서는 종아리뼈 머리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뼈 가시가 관찰되는 일이 많다. 안쪽 번짐으로 인한 체중부하가 가쪽 곁 인대에 견인력을 미치기 때문에 생긴다. 넙다리 두 갈래 근의 반복적인 기계적 자극은 종아리뼈 머리에 부착부염을 일으킨다. 거위발 .. 2020. 5. 14.
정강뼈거친면[tibial tuberosity]에 대해 알아보자~! 해부학적 특징 정강뼈 앞면에 있는 돌기이며 이 부분에 무릎인대가 부착한다. Q 각(Q angle) : 정강뼈 거 친면과 무릎뼈 중심을 연결한 선은 넙다리 곧은근(rectus femoris)의 세로축과 의미 있는 각도를 만든다. 그것이 Q 각이며 무릎뼈 탈구를 비롯한 무릎 넙다리 관절의 안정성 지표로 사용된다. Advice Osgood-Schlatter : 성장기 때 생기는 스포츠성 무릎 장애의 대표적 질환이다. 정강뼈 거 친면에 넙다리네 갈래근의 반복적인 견인 자극이 가해지면 발병한다. 정강뼈 부분의 운동 시 발생하는 통증과 부풀어 오름이 증상이다. 정강뼈 거친면이 가쪽으로 위치하게 되면 Q 각의 증대로 무릎뼈 탈구의 위험을 높인다. 무릎 넙다리 관절증에서 무릎 넙다리 관절의 접촉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목.. 2020. 5. 13.
스스로를 간지럽힐 수 없는 이유가 있다?!! 다른 사람이 나를 간지럽힌다면 몸이 저절로 움츠러들고 손 대기도 전에 깔깔 숨이 넘어갈지 모르지만, 스스로 겨드랑이나 발바닥에 자극을 주면 그냥 느낌이 있을 뿐이다. 왜 그럴까? 2000년에 영국의 신경과학자들이 이 비밀을 풀고 답을 내놓았다. 그것은 '우리의 두뇌활동'에 의한 것이었다. 우리는 간지러울 때 웃지만, 그건 즐거울 때 나오는 웃음과는 다르다. 다른 사람이 간지럼을 태우면 대뇌의 체성감각 영역에서 먼저 반응이 일어나는 데 비해 스스로 간지럼을 태울 때는 그곳이 아닌 소뇌가 먼저 반응한다. '잠시 후에 생기는 자극은 내가 만들어 내는 거야~ 위협적이거나, 놀라운 게 전혀 아니니까 반응할 필요 없어~'하고 대뇌에 보낼 신호의 크기를 무의식적으로 줄이게 되는 것이다. 즉 소뇌의 활동 때문에 대뇌의.. 2020. 5. 12.
[상체 마사지] 어깨 부분을 알아보자~!(엎드려 누운자세) 1) 대원근과 소원근 대원근은 어깨를 내회전, 견인시키는 근육이다. 이상이 생기면 팔을 반대편 얼굴로 가져가거나 귀에 대는 것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소원근은 외회전의 기능을 하며, 이상이 생기면 바지 뒷주머니에 손을 넣기가 힘들다. 두 손바닥을 겹쳐 손가락 끝에 힘을 주고 견갑골과 겨드랑이 사이의 근육 (대원근, 소원근)을 마사지한다. 어깨 힘을 이용하여 강한 압으로 날개뼈 아래부분에서 겨드랑이 방향으로 천천히 당긴다. 손바닥을 이용하여 외복사근에서 광배근, 대원근, 소원근으로 연속적이고 깊은 슬라이딩 마사지를 한다. 2) 광배근(latissimus dorsi) 광배근은 어깨를 신전하는 작용과 내전의 기능을 하여 수영할때 많은 역할을 한다. 이상이 생기면 손을 들어 올릴 때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등허리에.. 2020.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