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적 특징
- 정강뼈 앞면에 있는 돌기이며 이 부분에 무릎인대가 부착한다.
- Q 각(Q angle) : 정강뼈 거 친면과 무릎뼈 중심을 연결한 선은 넙다리 곧은근(rectus femoris)의 세로축과 의미 있는 각도를 만든다. 그것이 Q 각이며 무릎뼈 탈구를 비롯한 무릎 넙다리 관절의 안정성 지표로 사용된다.
Advice
- Osgood-Schlatter : 성장기 때 생기는 스포츠성 무릎 장애의 대표적 질환이다. 정강뼈 거 친면에 넙다리네 갈래근의 반복적인 견인 자극이 가해지면 발병한다. 정강뼈 부분의 운동 시 발생하는 통증과 부풀어 오름이 증상이다.
- 정강뼈 거친면이 가쪽으로 위치하게 되면 Q 각의 증대로 무릎뼈 탈구의 위험을 높인다.
- 무릎 넙다리 관절증에서 무릎 넙다리 관절의 접촉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정강뼈 거치면을 앞쪽으로 띄우는 정강뼈 거친 면 앞쪽 이동술(Maquet 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미지 출처 :
Review for the generalist: evaluation of anterior knee pain. Pediatric Rheumatology. 2007;5:8
Anatomy & Physiology, Connexions Web site. http://cnx.org/content/col11496/1.6/, June 19, 2013
'-------------------------------------- > 근골격계 해부학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아리뼈(fibula)머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5.14 |
---|---|
넙다리뼈와 정강이뼈의 안쪽,가쪽 관절융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28 |
무릎뼈 [patella]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27 |
넙다리뼈머리 [head of femur]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19 |
넙다리뼈 큰돌기 [great trochanter]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