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해부학 & 생리학

넙다리뼈와 정강이뼈의 안쪽,가쪽 관절융기에 대해 알아보자~!!

by 차차^^ 2020. 4. 28.

 

해부학적 특징

  • 넙다리뼈(femur) 먼쪽 끝의 큰 융기를 위치에 따라 안쪽 관절 융기(medial condyle of the femur)와 가쪽 관절 융기(lateral condyle of the femur)라고 부른다. 이 융기들은 정강뼈와 넙다리 정강 관절을 형성한다. 
  • 넙다리뼈 관절융기들은 긴 타원형 형태로, 무릎관절 굽힘보다 폄 상태에 적합하다.
  • 넙다리뼈 안쪽관절융기가 가쪽 관절 융기보다 크다.→ 무릎 굽힘에서 내회전 폄에서 외회전이 일어나는 이유
  • 정강뼈(tibia)의 몸쪽 끝 또한 안쪽 관절 융기와 가쪽 관절 융기가 있으며, 그 윗면에서 넙다리뼈 관절 융기와 관절을 형성한다.
  • 정강뼈 안쪽관절융기의 관절면은 중앙이 오목하게 파여있다.
  • 정강뼈 가쪽 관절 융기의 관절면은 평탄하고, 뒤로 경사져있다.→안쪽 융기는 미끄럼 운동(sliding) 가쪽 융기는 구르기 운동(rolling) 비율이 높은 이유

정강뼈 관절융기의 관절면


Advice

  • 안쪽형 변형성 무릎 관절증은 넙다리뼈와 정강뼈 안쪽 관절 융기의 관절연골 손상으로 O자 다리가 나타난다.
  • 가쪽형 변형은 X자 다리가 나타난다.

x다리와 o다리

  • 무릎관절의 굽힘, 폄 운동은 정강뼈 관절면과 넙다리뼈 융기 관절면의 구르기-미끄럼(rolling-sliding)의 복합운동으로 일어나며, 전방 십자인대와 후방 십자인대가 안정성을 제공한다.

십자인대(cruciate ligament)

  • 무릎의 이단성 골연골염, 박리성 연골염은 넙다리뼈 안쪽 관절 융기의 융기사이오목 관절면에서 잘 발생한다.

박리성 골연골염 축구선수에게 종종 나타난다.

  • 반달연골 절제 수술 후 오랜 기간이 지나면 2차 변형성 무릎관절증이 나타난다.
  • 무릎의 특발성 뼈 괴사는 넙다리뼈 안쪽관절융기의 하중 부위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미지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ruciate_Ligaments.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obo_1909_151.png

댓글